-
美국채 투매가 트럼프 아킬레스건이었나…90일 유예 막전막후[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10 04:57:17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반면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기존 104%에서 125%로 올렸습니다. 전선을 전세계에서 중국으로만 좁혀 중국에 집중하는 모양새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을 유예하는 대신 10%의 관세율은 부과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관세율은 25%가 아닌 10%가 됐습니다. 다만 철강, 알루미늄, -
韓 25%· 中 104%…美, 오늘 오후 1시 관세 방아쇠 당긴다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9 08:17:57잠시 후 한국시간 오후 1시 미국의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가 부과됩니다. 한국은 25%, 중국은 무려 104%, 일본은 24%, 유럽연합(EU)은 20%등 전세계 86개국이 상호관세를 맞게 됩니다. 미국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과 우선 협상을 하게 돼 일단 한미간 협상의 장은 열린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장기전이 예상돼 한동안 우리 기업, 산업계가 받는 타격은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중국에 있어서 백악관은 "중국이 먼저 연 -
美증시 선물 또 5% 폭락…트럼프 참모들, 관세 강행 시사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7 07:46:47주말 사이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경제팀이 방송에 총출동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강행할 것을 시사했습니다. 지난주 목요일과 금요일 뉴욕증시 폭락으로 구제책을 기대했던 시장은 다시 실망했습니다. 6일(현지 시간) 뉴욕증시 선물시장은 또 급락했습니다. 美 상무 “관세 연기 없다” ‘세계가 우리 갈취’ 6번 반복 우선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의 선봉장에 서 있는 인물이죠. 하워드 러트닉(사진) 미 -
백악관 '실세' "美가 韓 보호해줬더니 韓은 車·가전 훔쳐가”[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6 09:20:17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브레인' 격인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미국히 한국을 보호해준 대신 그들은 우리 자동차 산업을 훔쳤다"고 비판했습니다. 백악관이 한국을 바라보는 단적인 시각이 아닌가 싶은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핵폭탄' 관세정책으로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폭락하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백악관 단일대오에서 이탈하는 듯한 모습도 보였습니다. 트럼프 ‘브레인’ “왜 미국은 -
25→26→25%…혼선만 남긴 美 관세율, 트럼프 “반도체·藥도 곧 관세”[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4 07:10:02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던진 '경제적 핵폭탄' 상호관세의 여진은 3일 더 증폭됐습니다. 뉴욕증시가 2020년 팬데믹 이후 최대폭 폭락했습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예상했던 바"라며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밀어붙였습니다. 그런가 하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25%, 26%에서 이날 다시 25%로 확정이 됐습니다. 하루 사이에 숫자가 3번 왔다 갔다한 것으로, 숫자가 왜 변경됐 -
국정공백 결말인가…韓 상호관세 25%, 日, EU보다 높다[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3 06:17:41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우리보다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가 더 큰 일본, 유럽연합(EU)보다 더 높은 수준인데요. △우리가 미국에 이렇다 할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점 △국정공백으로 정상외교가 올스톱된 점 △고율 관세를 매겨도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 등을 종합 고려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국은 또 모든 수입품에 10%의 보편관세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 같 -
보편·개별관세? 제3의 길?…뭐가 됐든 韓은 비상[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2 08:01:42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동부시각 2일 오후 4시(한국 시간 3일 새벽 5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를 열고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이며 발표 즉시 발효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막판까지 여러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선택지에 대한 분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①"공약 지킨다 -
美, 韓 무역압박 '교본' 나왔다…소고기부터 車·법률·국방·원전까지 총망라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4.01 06:10:42간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이 국가별 연례 무역평가 보고서(NTE)를 발간했습니다. NTE는 USTR이 매년 3월 말 발간하는 보고서인데요. 올해는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공개된 것이어서 특히 관심을 모았습니다. 미국은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각국의 비관세 장벽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허물기 위해 협상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에 대해서도 소고기 수입부터 국방 물자 국내 제품 우선 구매 정책까지 깨알같이 문 -
트럼프 “푸틴에 화났다…합의 안하면 러에 2차관세"[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31 08:04:21간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화가 났다"고 말하고 러시아에 '세컨더리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전 전황에 진전이 없자 이번엔 러시아를 압박하고 나선 셈인데요. 또 이란과의 핵 협상에 대해서도 "합의하지 않으면 폭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4월 2일로 예정된 상호관세를 앞두고 트럼프의 관세폭탄 설계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한국을 콕 집 -
K조선 호재 가를 USTR 공청회, "美부활 첫걸음" VS "물가 급등"[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26 07:55:25오늘은 지난 24일(현지 시간) 오전 10시부터 워싱턴 미국제무역위원회 건물에서 열렸던 미 무역대표부(USTR)의 중국 선박 등에 대한 수수료 정책 공청회 분위기를 전달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는 미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 선사 선박에 100만달러(약 15억원), 중국산 선박에 150만달러(약 22억원) 등 총 100~30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인데요. 워낙 파급효과가 큰 정책이다 보니 내용을 들으려는 사람이 많아 공청회장에 -
현대차의 '한 방'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어려움 있으면 찾아오라”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25 05:21:16간밤 미국에서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연단에 나란히 서는 초대형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향후 4년간 미국에 단일 규모로는 최대인 210억달러(약 30조 8175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하는 자리였습니다. 분위기는 매우 좋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를 ‘위대한 회사’라 추켜세우며 "(미국 내 생산분은)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고 또 정 회장에 "허가를 받는 -
"트럼프, 밤낮 안가리고 일한다" 참모가 전한 백악관 내부[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24 06:40:29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지도 두 달이 넘었습니다. 취임 초 속도전에 나설 것이란 예고와 같이 트럼프 대통령은 80세가 가까워 지는 나이가 무색하게 왕성한 활동을 했죠. 오늘은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팟캐스트에 최근 출연한 제임스 블레어 백악관 비서실 부실장(입법, 정치, 공공 부문 담당)이 소개한 백악관 내부 사정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프는 항상 일하고 있다" 우선 블레어 부실장은 본 -
트럼프, 희토류 채굴에 전시권한 동원…G2 광물전쟁 시작[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21 06:57:21간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쟁 때나 쓰는 국방물자법을 활용해 핵심광물 채굴을 돕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했습니다.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희토류 시장에서 더 이상 중국에 목줄을 잡히지 않겠다는 선언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크라이나와 광물 협정 체결도 임박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간 광물전쟁도 본격화하는 분위기입니다. 한국전쟁 때 만든 국방물자법 활용 우선 20일(현지 시간) 트 -
트럼프, 또 장사꾼 본색 "우크라 원전, 美에 달라"[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20 07:06:28미국과 러시아 정상간 통화가 이뤄진 지 하루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간 전화통화도 이뤄졌습니다. 여기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러 정상이 합의한 에너지 인프라 30일 휴전안에 대해 동의를 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원전 소유권을 미국이 갖는 것을 제안한 것인데요. 오늘은 그 의미에 대해 집중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포리자 원전 근 -
트럼프VS시장 힘겨루기 시작…내일 CEO·월가 임원에 연설[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국제 정치·사회 2025.03.11 07:23:36간밤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백악관도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습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현재의 정책이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습니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 시간)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월가 은행 임원들에 연설을 해 그가 어떤 메시지를 낼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백악관 “2분기 경기 이륙할 것” 백악관 공동취재단에 따르면 백악관 당국자는 1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